내가본교육소식,

고입선발, 자기주도학습전형 정책특강

미친자유 2010. 11. 24. 15:05

 

 

 

 

 

 

 

 

 

 

자기주도학습전형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주제로

교과부 학부모 교육정책 모니터단 4차 워크숍에서 정책 특강을 들었다.

 

서울특별시 교육연구정보원 장보성 연구사님의 열강이 시작되었다.

 

**

 

 

 

 

최근 각광 받는 <자기주도학습>은 학습법중 하나이고,

<자기주도학습전형>은 고등학교형 입학사정관제라고 볼 수 있다.

 

서울시 소재 외고, 국제고, 과학고, 자립형사립고(학생선발권 있는 '하나고')는 입학사정관에 의한

자기주도학습전형에 따라 선발하며,

인증시험, 경시대회, 지필고사 형태의 구술면접 등 사교육 유발 요소는 반영할 수 없다고 한다.

 

서울시 소재 자율형사립고(경문, 경희, 대광, 대성, 동성, 동양, 미림여, 배재, 보인, 선덕, 세화, 세화여, 숭문, 신일, 양정, 용문, 우신, 이대부, 이화여, 장훈, 중동, 중앙, 한가람, 한대부, 현대, 휘문 총 26개교)는

중학교 내신백분위 석차 50% 이내 학생을 대상으로 선지원 후추첨으로 선발한다.

 

 

 

 

 

자기주도학습이란 교사주도학습이 아닌, 학생 스스로 주도권을 가지고

학습목표를 설정하고 학습과제를 선택하며 학습에 필요한 인적물적 자원을 확보하여

효율적인 학습전략을 사용하여 학습결과를 스스로 평가하는 과정이다.

 

 

 

 

자기주도학습전형을 도입하게 된 배경과 목적이다

과학 잘하는데 국어는 그에 미치지 못했던 학생들에게 좋은 전형 방법이다

물론 이후 사진에 게시되지만, 국어도 어느 정도는 해야만 한다

 

 

 

 

자기주도학습전형이 적용되는 고등학교를 설명하고 있다

외고, 국제고, 자율형사립고 모두 모집 인원 전원을 자기주도학습전형으로 선발한다.

 

과학고는 모집인원의 30%를 전형하며,

과학영재학교는 관련 법령에 의거, 별도의 방법으로 전형한다.

 

최근 민사고의 영어면접은 그래서 잘못된 것이다.

 

 

자기주도학습전형의 기본원칙이다.

독서실적을 잘 관리해야 한다.

 

 

 

 

사회적 배려대상자로 모집인원의 20%를 전형하고 있다.

이들을 선발하는 방법 역시, 자기주도학습전형 방식이다.

 

 

 

 

중학교 내신으로 선발후 내신과 면접으로 최종 선발한다.

 

 

 

 

각 학교 특성마다 보는 과목이 다르다.

국제고와 외고는 2, 3학년 영어, 과학고는 수학과 과학

자사고는 국, 영, 수, 사, 과를 보며, 출결사항도 본다.

 

2단계 면접에서는 학습계획과 봉사, 체험활동, 독서활동을 위주로 본다.

 

 

 

 

 

추천서에는 선생님 부담이 크게 존재한다.

제자라하여 사실과 다르게 칭찬 일색으로 추천을 한 경우,

합격한 학생이 실제로 그러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 선생님은 블랙리스트에 올려진다고 하니,

선생님 추천서, 다음 해후배들을 위해서라도 제대로 써 주셔야한다고.

 

 

 

 

학습계획서를 쓰는 방식이다.

배제사항으로 각종 경시대회 입상 및 능력시험 점수는 기록할 수 없다.

 

 

 

학습계획서의 주요 항목이다

지원동기와 학습과정, 진로계획 및 봉사, 체험활동과 독서경험을 적어야 한다.

 

 

 

각 학교별 필요한 추천서

 

 

 

수상 및 인증점수가 학교생활기록부에 기재하는 것은 금지사항이다.

 

 

 

국제고와 외국어고의 내신반영

 

 

학기별 과목 내신성적 환산방식이다.

 

 

 

 

 

 

동점자의 경우 중간석차를 적용한다

 

 

연번 3번 학생의 1, 1, 2, 2등급보다

연번 4번 학생의 1, 1, 1, 3등급의 환산점수가 낮은 점을 고려해야 한다.

 

 

 

 

자사고의 경우이다

하나고는 학년별 차등이 있다고 한다.

면접비율이 과고와 외고 대비 상대적으로 낮다고 한다.

 

 

 

마지막으로 성공적인 학교생활에 대해 말씀하셨다.

 

 

 

1. 이른 시기에 진로를 본인 스스로 하라. (부모 결정이 아닌)

1. 학교 생활에 충실하라.

1. 학교생활기록부의 중요성을 인식하라.

1. 비교과 활동에 적극 참여하라.

1. 봉사, 체험활동을 지속적으로 작성하라.

1. 폭넓고 깊이 있는 독서활동을 하라.

1. 20년 후의 자화상을 그려라.

 

 

계간지 <서울교육>의 인연으로 뵈었던 장보성 연구사님,

바쁜 일정에도 열강에 감사드립니다.

 

 

2010/11/22

 

 

 

- 처음처럼